메일링 서비스를 신청/변경하시려면 다음의 메일링구독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메일링 구독하기

메일링 소개 및 신청하기
mail(0).jpg

메일링 소개 및 신청하기

조회수 72140

당신의 리더십을 위한 편지가 도착했습니다. 국제제자훈련원에서는 목회자와 소그룹 지도자, 제자.사역 훈련생들의 리더십 계발을 위해 메일링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최신의 정보와 자료, 칼럼을 통해 여러분의 삶과 사역을 풍성히 하시기 바랍니다. 리더십 네트워크 최신의 목회정보를 가장 먼저 받아 보십시오. 최근의 목회 경향과 도서 정보를 담은 목회 칼럼과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92호 - 소그룹의 기도사역을 점검하라

조회수 99

여름사역기간이 다가오며, 소그룹마다 구성원들의 여름수양회와 단기선교, 또 방학기간 사역을 위한 중보요청이 속속 모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각자 바쁜 사역으로 때론 흩어져 있어야 하는 이 기간에 더욱 중요한 것은, 서로를 위해 기도하는 사역을 멈추지 않는 것입니다. 서로를 위해 기도할 때, 물리적 거리가 떨어져 있더라도 소그룹 구성원들의 영혼의 거리는 결코 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미국의 저명한 기독교 저술가이자 교회 연구가 톰 레이너는 그리스도인의 기본 정체성을 일곱가지로 정리한 책 <나는 그리스도인입니다>에서, 그리스도인의 기도해야 하는 사명자로서의 정체성을 “기도하는 전사”라는 용어로 표현합니다. 그는 그를 위해 중보하였던 “기도하는 전사”들 때문에...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91호 - 소그룹에 맞닥뜨린 장애물을 슬기롭게 돌파하라

조회수 495

구성원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소그룹을 창조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모든 소그룹들이 어떤 모양으로든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구성원들이 성장하려면, 그들이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약한 부분까지 노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소그룹을 인도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사람들이 정서적으로 투명할 때 문제가 수면 위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바로 이 순간에 소그룹을 바른 방향으로 인도하는 것이 리더의 할 일입니다. 리더가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지켜야 할 원칙이 두 가지 있습니다. 첫 번째 해결책은 문제의 장본인이 성장하고 온전해지도록 돕는 것이어야 합니다. 두 번째 해결책은 소그룹 전체가 성장하고 온전해지도록 돕는 것이어야 합니다. 다음에 제시...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90호-기도와 함께 걸어가는 소그룹

조회수 558

자신의 소그룹이 죽기를 바라는 사람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누구도 사랑하는 소그룹을 떠나보내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누구도 많은 세월 동안 몸과 마음을 바쳤던 소그룹을 잃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소원과는 달리 어떤 소그룹들은 죽습니다. 소그룹을 죽어가게 하는 원인으로 여러 가지를 꼽을 수 있지만, 그중 하나는 ’기도 없음‘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소그룹은 ’기도 없음은 곧 소망 없음‘이라는 것을 깨닫고, 기도하는 일에 힘써야 합니다! 바꾸어 말하면, 소그룹은 ’기도‘와 함께 걸어가야 합니다! 사도행전 2장 42절을 보면, “그들이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하고 떡을 떼며 오로지 기도하기를 힘쓰니라.”라고 적혀 있습니다. 보통은...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89호 -새가족을 소그룹과 사역에 동시에 참여시켜라

조회수 509

일반적으로 교회의 “회원”이 된다는 것은 교적에, 교인 명부에 등재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를 단순한 명단으로 이해한다면 분명 금새 어려움에 봉착할 것입니다. 바울은 고린도전서 12장에서 교인들을 “지체”라고 부릅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의 구성원들은 각각 몸의 한 부분씩을 담당한다는 의미입니다. 단순한 명단을 넘어서서 몸의 일부와 같이 각자 맡은바 기능을 해야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교인 명부에 등재가 된다는 것은, 몸 전체의 유익을 위해 희생할 준비가 된 사람이라는 것을 의미해야 합니다. 살아나는 교회들은 이러한 의미를 새가족에게 잘 전달하는 교회입니다. 기계적인 명부 등재를 진행하지 않고, 명부 등재 전에 이 명부에 등록되...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88호 - 기도의 깊이를 더하는 소그룹 공동체

조회수 713

소그룹에서 기도는 떼어야 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왜냐하면 기도는 소그룹에 영적 에너지이기 때문입니다. 기도를 통해 영적 에너지가 배터리처럼 충만하면 소그룹의 역동성이 살아나고 생명의 공동체로 기쁨이 충만하고 생기가 넘치게 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소그룹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그룹 리더의 기도입니다. 공동체는 리더의 수준만큼 성장한다는 말이 있듯이 리더의 기도만큼 소그룹 구성원들도 기도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소그룹 리더는 팀 켈러 목사가 제시한 기도의 유익을 온전히 깨달아 생명의 공동체가 영적으로 충만하고 건강하게 세워갈 수 있게 만들어야 합니다.   하나님 쪽으로 눈길을 돌려라 기도는 형식과 관계없이...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87호 - 소그룹 섬김을 위한 SNS 활용법

조회수 877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오늘날 이 시대에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하나님께서 개인과 공동체에 맡겨 주신 사역을 더욱 효과적, 효율적으로해내는 데 유익한 도구입니다. 어떤 이는 ‘유목민처럼 성도와 함께 파도타기를 즐기라’는 뜻으로 SNS 사역을 이른바 ‘노마드 사역’이라고 정의하기도 합니다. 이처럼오늘날 사역을 하는 데&nbs...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86호 - 소그룹의 질문이 살아있는가

조회수 744

제자훈련 교회의 소그룹은 귀납적 소그룹이 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귀납적 소그룹은 인도자의 일방적인 지식전달이 아닌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어 구성원들의 사고와 삶을 변화시키는데 가장 탁월한 소그룹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귀납적 소그룹이란 성경공부를 비롯하여 소그룹 환경에서 진행하는 여러 프로그램을 모두 귀납적으로 풀어내는 소그룹입니다. 삶을 나누고, 기도제목을 나누며, 전도활동을 하고 일상의 대화 속에서까지 모두 귀납적인 접근을 지향하는 소그룹입니다. 그렇다면 귀납적 접근이란 무엇을 의미할까요? 과연 우리 소그룹이 귀납적 소그룹인지 무엇을 기준으로 점검해 볼 수 있을까요? 최상태 목사는 일산의 화평교회를 개척하여 귀납적 소그룹을 통한 성공적인 제자훈련 교회의...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85호 - 소그룹 리더십의 10가지 기본 원칙

조회수 757

소그룹은 리더십이 승패를 가름합니다. 그만큼 한 공동체가 생명력을 가지고 영적인 재생산이 일어나며 구성원들에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소그룹 리더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소그룹 전문사역기관 라이프투게더(Lifetogether, Inc.)의 설립자 브렛 이스트맨(Brett Eastman)은 그의 동역자 케일럽 앤더슨(Caleb Anderson)과 함께 “소그룹 리더십의 10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내용을 한국교회 소그룹 현장에 맞게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첫 번째, 혼자가 아님을 기억하라 소그룹 사역은 결코 리더 혼자만의 사역이 아닙니다. 이 사역은 하나님께서 동행하시는 사역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84호 - 여러분의 소그룹은 ‘환대하는 공동체’입니까?

조회수 1548

p { text-indent: 1em; } 아직 소그룹을 참여하고 있지 않은 사람에게 ‘소그룹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이유’를 물으면, 적지 않은 경우, 그들은 “소외당하는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합니다. 이는 누군가가 기존의 소그룹 공동체에 합류하려면 용기가 필요하다는 방증입니다. 그러므로 공동체는 새로운 구성원이 여러분의 소그룹에 참여했을 때, ‘소외당하는 느낌’이 아니라 ‘환대받는 느낌’이 들도록 하는 일에 힘써야 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여러분의 소그룹은 ‘환대하는 공동체’입니까?” 아래의 질문들에 답해 보며, 현재 상태를 진단하고 점검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질문 1. 소그룹 구성원과 공동체 전체를 위해 얼마나 자주 기도합니까?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83호 - 소그룹도 훈련이 필요하다

조회수 794

개인주의, 능력주의 사회속에서 우리는 개인의 역량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배움과 훈련을 시도합니다. 교회에서도 다양한 훈련과 양육 과정들이 성도 개개인의 신앙성장을 위해 제공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소그룹의 리더를 세워가는 제자훈련도 기본적으로는 훈련생 각 사람이 성장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소그룹 자체를 위한 훈련도 분명히 필요합니다. 특히 개인주의가 심화되어가는 오늘날 사회 속에서는, 예전에 너무도 당연했던 소그룹의 교제 방법들까지 의도적으로 훈련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개러쓰 W. 아이스노글이 그의 책 <소그룹 사역을 위한 성경적 기초>에서 제시하는 소그룹에 필요한 훈련 항목들을 살펴보며, 지금 우리 소그룹은...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