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그룹 중심 교회는 건강한 교회의 특징입니다. 그래서 많은 목회자들이 소그룹 중심으로 교회를 재편해 가기 원하는데, 아쉽게도 모든 교회가 다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실패한 교회와 목회자들은 “우리에게는 안 맞는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자신의 교회에 맞도록 하기 위한 아무런 가공 없이 다른 교회의 소그룹 사역을 받아들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니 몸에 맞지 않는 옷을 “걸친” 느낌이 됩니다.
일단 전제되어야 할 것은 소그룹 사역을 교회 전체의 리더십이 주도적으로 추진해 가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만약 지금 섬기고 있는 교회가 소그룹이 활성화된 교회로 변화되길 원한다면, 담임목사부터 소그룹 사역에 동참해야 합니다. 소그룹 교회로의 전환이란 교회의 체질 자체를 바꾸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어느 교회도 최종 의사결정에 관여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교회의 본질적 변화를 맡기려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소그룹 중심 교회로의 변환이란 단지 현재 가지고 있는 교회의 형태에 소그룹이라는 다른 도구를 덧붙이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무엇보다 먼저 인식해야만 소그룹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그룹 사역이란 그 자체로 역동적인 것이기 때문에, 담임목사가 소그룹이 실제로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경험해 보지 않는다면 그때그때 적절한 조치를 내리지 못하고 오히려 소그룹활동을 저해하는 결정을 내리기 쉽습니다. 만약 담임목사 자신은 한 발 물러난 상태로 교회에 소그룹을 접목시키려 한다면 결국 셀 교회나 메타 교회, 또는 기타 어떤 교회에서 성공했다고 하는 모델을 가져와서 그대로 접붙이려고 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렇게 했을 경우 대부분 거부반응이 나타나고, 결국 앞서 말한 “우리에게는 안 맞는다”는 말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므로 다른 교회의 소그룹 사역을 그대로 우리 교회에 접목하기 보다는, 교회의 다른 구성원들이 모델로 삼을만한 소그룹을 담임목사가 주도하여 시작하는 것이 옳습니다. 즉 담임목사가 주도하는 “모델 그룹”입니다. 이는 이후에 그들이 다른 사람들의 리더가 될 것을 염두에 둔 소그룹입니다. 그러나 모델 그룹은 결코 단순한 훈련과정에 그쳐서는 안 됩니다. 모델 그룹은 반드시 진정한 공동체가 되어야 합니다. 소그룹 내에서 공동체를 경험해 보지 않은 사람들이 리더가 되어 다른 소그룹을 공동체로 만들 수 있으리라고 기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 모델 그룹이라고 해도 이후에 생성될 다른 그룹의 모든 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후에 이들이 소그룹의 리더가 될 사람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들이 다른 성도들과 다를 것이라고 기대해서는 안 됩니다. 이들은 모델 그룹 내에서 이후 자기가 인도할 소그룹에서 일어날 모든 것을 체험해 보아야 합니다.
모델 그룹에서는 실제 상황을 통해 가르칠 수 있어야 합니다. 단지 성경공부 교재만을 다루어서는 안 되고, 왜 리더(담임목사)가 이런 말을 했고, 이런 행동을 했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고, 이후 이들이 리더가 되었을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갖도록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모델 그룹은 충분한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새 리더들을 온전하게 훈련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9~12개월이 필요할 것입니다. 만약 한 번도 다른 사람을 인도해보지 못한 사람을 리더로 세우기 원한다면, 그 사람은 적어도 18~24개월 정도의 기간은 필요하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이 글은 빌 도나휴, 러스 로빈슨의 『소그룹 중심의 교회를 세우라』 (국제제자훈련원)의 일부 내용을 각색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