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동화 중에「핑크대왕 퍼시」라는 재미있는 작품이 있습니다. 핑크색을 광적으로 좋아하는 핑크대왕 퍼시는 자신의 옷뿐만 아니라 모든 소유물이 핑크색이었고 매일 먹는 음식까지도 핑크 일색이었습니다. 그러나 핑크대왕은 이것으로 만족할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이 살고 있는 성 밖으로 나가면 핑크가 아닌 다른 색들이 수없이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고민 끝에 핑크대왕은 백성들의 모든 소유물을 핑크로 바꾸라는 법을 제정했습니다. 왕의 일방적인 지시에 반발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어쩔 수 없이 그날 이후 백성들도 옷과 그릇, 가구 등을 모두 핑크색으로 바꾸었습니다.
그러나 핑크대왕은 여전히 만족하지 않았습니다. 세상에는 아직도 핑크가 아닌 것이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나라의 모든 나무와 풀과 꽃, 동물들까지도 핑크색으로 염색하도록 명령했습니다. 대규모의 군대가 동원되어 산과 들로 다니면서 모든 사물을 핑크색으로 염색하는 진풍경이 연출되었습니다. 심지어 동물들은 갓 태어나자마자 바로 핑크색으로 염색되었습니다.
드디어 세상의 모든 것이 핑크로 변한 듯 보였습니다. 그러나 단 한곳, 핑크로 바꾸지 못한 곳이 있었으니 그건 바로 하늘이었습니다. 제아무리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왕이라도 하늘을 핑크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며칠을 전전긍긍했지만 뾰족한 수가 떠오르지 않자, 핑크대왕은 마지막 방법으로 자신의 스승에게 묘책을 찾아내도록 명령했습니다. 밤낮으로 고심하던 스승은 마침내 하늘을 핑크색으로 바꿀 묘책을 찾아내고는 무릎을 쳤습니다.
핑크대왕 앞에 나아간 스승은 왕에게, 이미 하늘을 핑크색으로 바꿔놓았으니 준비한 안경을 끼고 하늘을 보라고 했습니다. 대왕은 반신반의하면서도 스승의 말에 따라 안경을 끼고 하늘을 올려다봤습니다. 구름과 하늘이 온통 핑크색으로 변해있었습니다. 스승이 마술이라고 부려 하늘을 핑크색으로 바꿔놓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스승이 한 일은 핑크빛 렌즈를 끼운 안경을 만든 것이었습니다. 하늘을 핑크색으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지만, 하늘을 핑크색으로 보이게 할 방법은 찾아낸 것입니다. 핑크대왕은 크게 기뻐하며 그날 이후 매일 핑크 안경을 끼고 세상을 바라보면서 행복한 나날을 보냈습니다. 백성들은 더 이상 핑크색 옷을 입지 않아도 되었고, 동물들도 핑크색으로 염색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우리 역시 핑크대왕과 마찬가지로 각자 색깔만 다를 뿐 ‘프레임’이라는 마음의 안경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프레임’이 갖는 힘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핑크대왕처럼 리더가 어떤 프레임을 가지고 있느냐는 전체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큽니다.
실패를 부르는 회피 프레임
구약성경 민수기 13장은, 모세가 하나님의 도움으로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고 홍해를 건넌 후에 광야에서 생활하다 하나님이 약속한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는 과정 중 12명의 사람들을 보내어 가나안 땅을 정탐하게 하는 장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정탐을 마치고 돌아온 사람들이 각자의 정탐 결과를 보고하는데 12명 중 10명의 보고 내용은 부정적이었습니다. 비록 그 땅이 풍요로운 땅이긴 하지만 이미 그 땅에 정착해 있는 이민족들의 힘이 막강하기 때문에 그들과 싸워 이기기 힘들 거라는 이유였습니다. 그 땅에 발을 들여놓기도 전에 이민족들에게 패할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그 근처에는 얼씬도 하지 말자는 요지였습니다. 그러나 12명 가운데 두 사람, 갈렙과 여호수아는 그 땅이 ‘젖과 꿀이 흐르는 아름다운 땅’임을 강조하며 그곳으로 진군할 것을 적극적으로 주장했습니다. 물론 결말은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의 약속에 따라 가나안에 성공적으로 입성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 이야기는 성취하는 사람과 안주하는 사람의 프레임 차이를 잘 보여줍니다. 성취하는 사람의 프레임은 ‘접근’ 프레임입니다. 반면에 안주하는 사람의 프레임은 ‘회피’ 프레임입니다. 접근 프레임은 보상에 주목하기 때문에 어떤 일의 결과로 얻게 될 보상의 크기에 집중하고 그것에 열광합니다. 그러나 회피 프레임은 실패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자칫 잘못하다간 실수할 수 있다는 데 주목하고, 보상의 크기보다는 처벌의 크기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회피 프레임에 길들여진 사람들은 자신을 보호하는 일을 최우선으로 삼습니다. 어려운 일을 시도하여 성취감을 맛보기보다는 행여나 일을 도모하다 망신을 당하거나 자존심이 상할 일이 생기지는 않을까 하는 불안감으로부터 철저하게 자신을 보호하고자 합니다. 설령 성공 가능성이 99%라고 하더라도 1%의 실패 가능성에 연연해합니다. 그래서 ‘혹시 실패하면…’이라는 자기 방어적인 시나리오로 최악의 결과를 그려보고는 모험 자체를 감행하지 않습니다. 회피 프레임을 가진 사람들은 어떤 일로 성공을 거두더라도 흥분하고 감격하기보다는 안도감부터 경험합니다.
안락한 지대를 벗어나 ‘지도 밖으로 행군’하는 용기 있는 행동은 오직 접근 프레임을 가진 사람들에게서만 가능합니다. 이러한 도전적인 프레임이 있었기에 비행기가 발명되고 우주선도 탄생할 수 있었습니다. 회피 프레임이 강한 사람에게는 지금껏 한번도 성공한 적이 없는 위험한 시험 비행은 꿈도 꿀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성취하고자 노력하는 사람에게 세상은 젖과 꿀이 흐르는 풍요의 땅이지만, 안주하는 사람에겐 어설프게 나섰다간 낭패 보기 십상인 위험한 곳으로만 보일 뿐입니다. 리더가 회피 프레임에 갇혀 있을 경우를 상상해 보십시오. 바른 리더십을 소유하고 발휘하기 위해서도 바른 프레임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늘 자신의 프레임이 왜곡되어 있지는 않은지 반성하고 성숙을 도모하는 것이 리더에게 요구되는 자세이자 태도일 것입니다. |
본문내용 내려받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