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그룹] 630호 - 나는 리더입니까, 매니저입니까?

조회수 397

나는 리더입니까, 매니저입니까? 리더와 매니저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매니저는 기존 패러다임 안에서 움직이지만, 리더는 패러다임을 바꾸거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매니저 역할을 하면서도 자신을 리더라고 생각합니다. 반면, 어떤 사람들은 행정적 자질이나 조직 운영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은 리더가 될 수 없다고 오해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리더십과 매니지먼트는 별개의 개념이 아닙니다. 허시(Hersey)와 블랜차드(Blanchard)는 “매니지먼트는 리더십의 한 부분이며, 더 큰 그림이 바로 리더십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매니저와 리더는 어떻게 다릅니까? 매니저는 “어떻게 하면 일을 잘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을까?”를 고민합니...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29호 - 기다림은 낭비가 아니다, 함께라면 더욱 그렇다

조회수 370

기다림은 낭비가 아니다, 함께라면 더욱 그렇다 기다림은 낭비가 아니다 ‘빨리빨리’ 문화에 익숙한 우리는 기다리는 일을 힘들어합니다. 인생의 공백과도 같이 느껴지는 기다림을 좋아하는 사람을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빨라진 현대사회는 더 이상 기다림을 가치 있게 여기지 않습니다. 우리는 삶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기다림을 최대한 기피하며 살아갑니다. 미국 인디애나주 칼리지파크교회를 담임하고 있는 마크 브로갑(Mark Vroegop) 목사는 라는 저서에서 기다림이란 누군가를 고대하는 것이라 설명합니다. 이제는 낭비라 여겨지는 기다림의 과정 가운데 소그룹은 어떤 역할을 같이 감당할 수 있는지 마크 브로갑 목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기다림은 소망이다 “기다...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93호 - 목회자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편지

조회수 952

탈기독교 시대, 교회를 향한 5가지 질문 급변하는 탈기독교 시대, 교회는 어디로 가야 할까요? 현대 교회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진단하고 목회자들에게 사역의 이정표를 제시해 온 톰 레이너 박사가 새로운 책 <우리 교인 다 어디로?>를 통해 그 해답을 제시합니다. 40년 가까이 교회 컨설팅 사역을 해 온 그는, 이 책에서 현대 교회를 병들게 하고 건강한 성장을 저해하는 다섯 가지 문제들을 지적하며, 우리 교회의 현실을 되돌아보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길을 제시합니다. 실태파악 1 많은 교인이 실제로는 성경의 기본 진리를 믿지 않았다 톰 레어너 박사의 ‘당신의 교회를 알라’ 설문 조사에 따르면, 참여 교인 중 절반 가까이가 예수님이 유일한 구원의 길이...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92호 - 목회자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편지

조회수 774

기도의 문화를 정착시켜라 리더십의 가장 큰 숙제 중 하나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기도하는 공동체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영혼의 호흡인 기도를 통해 주님께서 일하심을 보게되고 주님께서 허락하신 소명을 보는 것은 모든 믿는 이들의 소망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도의 루틴을 세우며 기도의 문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도의 루틴을 세워라 내셔널커뮤니티교회의 담임목사이자 기도에 관한 베스트셀러 <서클 메이커>의 저자인 마크 배터슨 목사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기도 문화를 정착시키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세계에서 가장 바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워싱턴 DC에서 삶을 잠시 멈추고 기도하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배터슨 목...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90호 - 목회자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편지

조회수 964

야망이 아닌 열망을 품고 부르심의 자리로 나아가라 “당신이 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이미 절반은 성공한 것이다.”라는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 그 동기부여가 올바로 되어있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이 됩니다. 그러나 그전에 우리는 먼저 ‘동기’가 무엇인지 점검해야 합니다. 내가 부르심의 자리로 나아가는 동기가, 리더로 섬기는 동기가 불순하지는 않을까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부르심의 길을 따라 살다가 보면 거룩한 열정을 품은 멋진 사람들을 만나기도 하고, 반면에 어두운 야망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는 사역자들을 만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야망은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며 섬기는 가운데 희생을 초래하기도 됩니다. 겉으로는 사랑이나 헌신처...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89호 - 목회자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편지

조회수 981

말 한다미가 바꾸는 세상, 유창함의 힘 시대를 막론하고 대부분의 성경학자들은 성경의 언어가 매우 유창하다는 사실을 지적합니다. 예를 들면, 잘 칼뱅은 “이사야의 어투는 단순하고 우아하며 고도의 기교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우리는 유창함이 믿음에 커다란 보탬이 되기도 한다는 점을 알게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성경은 언어에 영향력을 더하는 온갖 문학적 도구로 가득합니다. 즉 아크로스틱(각 행의 첫 글자를 연결해서 단어를 만듦), 두운법, 비유, 의인화, 대구법, 과장법, 반어법, 역설법, 직유법, 은유법, 풍자, 의성어, 반복, 리듬 등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자신처럼 이러한 아름다운 유창함을 활용하도록 우리를 초대하십니다. 우리가 자신을 낮추고 그리스...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12호 - 가치 있는 곳에 꾀는 가짜들의 정체

조회수 1093

가치 있는 곳에 꾀는 가짜들의 정체 향기 나는 꽃에 벌과 나비가 모여들듯이 가치 있는 곳에는 많은 이들이 모이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모인 많은 이들 가운데는 그 가치에 열광하는 진짜들과 그 가치를 허물어뜨리고자 하는 가짜들이 공존하는 법입니다. 복음이라는 가장 중요한 가치를 품고 살아가기 위해 부름 받아 세상을 변화시키는 공동체인 교회에도 이와 같은 가짜들이 모이고 있습니다. 베이직교회를 담임하는 조정민 목사는 그가 쓴 책 에서 이 가짜들, 분명 교회를 다니지만 그리스도인은 아닌 이들을 반(反)그리스도인이라고 칭합니다. 반그리스도인이란 예수님을 믿지 않고 교회를 다니지 않는 사람들 즉, 비그리스도인이 아닌, 교회를 다니며 예수님을 믿는다고 고백하지만 오히려 잘못된 행동...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11호 - 관계적인 지혜와 성숙을 갖추기 위한 핵심 원리

조회수 1164

관계적인 지혜와 성숙을 갖추기 위한 핵심 원리 사람들이 공동체를 떠나는 여러 이유에는 관계적인 요소가 많습니다. 사랑을 경험하지 못한 것에서부터 공동체에 적응하지 못한 것과 정치적 의견 차이까지 대부분 관계적인 문제입니다. 관계적인 문제가 큰 요인이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는 좋은 소식은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는 문제라는 점입니다. 즉 사람들이 우리를 어떤 사람으로 여기게 할지는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문제이며, 얼마든지 우리는 자신의 성숙을 위해 의도적으로 노력할 수 있습니다. 현재 올랜드그레이스교회를 담임하는 짐 데이비스 목사는 에서 소그룹 리더가 관계적인 지혜와 성숙을 갖추기 위해 최소한 다섯 가지 핵심 인식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1. 하나님을 알고,...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09호 - 우리는 리더이기 이전에 제자이다

조회수 1454

예수님의 제자 되기’는 모든 그리스도인의 사명이자 특권입니다. 모든 성도들은 예수님의 제자로 한평생 주님의 사명을 위해 헌신해야 합니다. 어느 순간 우리가 제자훈련을 통해 소그룹 리더로 사역하다보면, 내가 예수님의 제자라는 인식을 잊어버리고 직분에만 충실한 사역자로 살아갈 때가 있습니다. 그러다보면 교회의 사명, 소그룹의 사명이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 방향 정렬이 되지 못하면 사역의 누수가 발생합니다.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100대 교회로 선정된 ‘리얼라이프미니스트리’는 하나의 소그룹으로 시작해 8천 명이 넘는 교회로 성장했습니다. 이 교회를 담임하는 짐 푸트먼 목사는 <영적 성장 단계별 제자 양육>에서 소그룹 리더는 리더이기 이전...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07호 - 시간 관리도 영성이다

조회수 1433

시간 관리에 관한 우리의 고질적 문제는 단순히 ‘잘못된 일정 관리’같은 표면적 차원을 넘어섭니다. 이 시대의 성도 안에 ‘일, 시간,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계획에서 내가 맡은 역할’에 관한 그릇된 관념이 깊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런 까닭에 조던 레이너는 <시간 관리도 영성이다>에서 시간의 창조주 예수님께서 시간에 묶인 인간의 몸을 입고서 이 땅에서 시간을 어떻게 쓰셨는지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조던 레이너는 목적으로 충만하고 현재에 집중하며 더없이 생산적인 삶을 살기 위한 일곱 가지 성경적 원칙을 강조했습니다. 이 모든 기본 원칙은 예수님의 삶과 명령에서 나온 내용입니다. 그가 설명한 내용 중 몇 가지를 소개하며, 시간의 창조주이신 예수...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