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908호 - 좋은 리더가 되기 위한 자기 점검

조회수 149

좋은 리더가 되기 위한 자기 점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걸작 “최후의 만찬”을 그릴 때, 그는 한 청년을 예수님의 모델로 세웠습니다. 그 청년은 용모가 아름답고 모범적인 성가대원 ‘피에트로 반디 넬리’였습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도록 그림은 완성되지 못했습니다. 제자들의 얼굴은 모두 그렸지만, 단 한 사람 가룟 유다의 얼굴만은 남아 있었기 때문입니다. 다빈치는 죄로 인해 내면이 일그러지고, 배신과 탐욕이 묻어나는 인물을 찾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로마 거리를 걷던 중, 그는 차갑고 비열한 기운을 풍기는 한 사내를 발견합니다. 외모만 보아도 소름이 끼칠 정도였습니다. 다빈치는 그를 모델로 삼아 마침...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36호 - 좋은 순장은 이렇게 세워집니다

조회수 341

좋은 순장은 이렇게 세워집니다 소그룹 리더는 영적 부모로서 자기 자녀를 돌보듯이 순원이나 구역원들을 돌보아야 합니다. 때로는 사랑으로 감싸주고, 때로는 엄하게 가르쳐야 합니다. 만약 순원이 순장을 힘들게 한다면, 다음을 참고하여 사역하십시오. 첫째, 내가 순원이었을 때 좋았던 순장의 모습을 떠올리십시오. 소그룹 리더는 좋은 순원들과의 만남을 원하지만, 때때로 어린아이 같은 순원들을 만나게 되고, 다락방에 나오지 않는 순원 때문에 속상할 때도 많습니다. 그럴 때는 자신...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32호 - 순장은 교회의 심장입니다 - 목회자와 함께 영혼을 살리고 교회를 세우는 동역자

조회수 1150

순장은 교회의 심장입니다 - 목회자와 함께 영혼을 살리고 교회를 세우는 동역자 작은 교회인 소그룹 리더는 교역자를 도와 함께 동역하는 동역자입니다.“너희가 한마음으로 서서 한뜻으로 복음의 신앙을 위하여 협력하는 것과”(빌 1:27). 바울에게는 디모데(빌 2:22), 에바브로디도(빌 2:25)와 같은 훌륭한 동역자들이 있었습니다. 순장은 담임목사와 부교역자의 손발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순장은 목회자의 지도와 보살핌을 받아야 하는 목양 대상이기도 합니다. 항상 가르침을 받고 순종하며 따르도록 해야 합니다. 순장은 의논하고 필요한 부분에서는 도움을 목회자에게 요청해야 합니다. 의논하지 않은 일은 혼자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순장과 담당...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30호 - 나는 리더입니까, 매니저입니까?

조회수 1313

나는 리더입니까, 매니저입니까? 리더와 매니저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매니저는 기존 패러다임 안에서 움직이지만, 리더는 패러다임을 바꾸거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매니저 역할을 하면서도 자신을 리더라고 생각합니다. 반면, 어떤 사람들은 행정적 자질이나 조직 운영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은 리더가 될 수 없다고 오해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리더십과 매니지먼트는 별개의 개념이 아닙니다. 허시(Hersey)와 블랜차드(Blanchard)는 “매니지먼트는 리더십의 한 부분이며, 더 큰 그림이 바로 리더십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매니저와 리더는 어떻게 다릅니까? 매니저는 “어떻게 하면 일을 잘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을까?”를 고민합니...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26호 - 소그룹 인도를 부담스러워하는 평신도 리더를 어떻게 도울까?

조회수 1366

소그룹 인도를 부담스러워하는 평신도 리더를 어떻게 도울까? 아직도 소그룹 인도를 부담스럽게 느끼십니까? “우리 소그룹은 왜 이렇게 소극적일까?”,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마음을 열고 참여하게 할 수 있을까?”, “다른 소그룹에 비해 우리 소그룹은 왜 결석률이 높을까?” 많은 리더들이 이러한 고민을 토로합니다. 평신도 리더들이 소그룹 인도를 이처럼 어려워하고 부담스러워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소그룹 사역의 어려움 이해 기성세대들이 경험한 수십 년간의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은 그들을 수동적인 학습자로 만들었습니다. 듣는 것에 익숙했던 그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나누고 토론하는 소그룹 문화는 낯설고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더욱이 포스트모던 시대의 영향으로 개...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15호 - 소그룹 사역, 왜 필요한가?

조회수 2373

소그룹 사역, 왜 필요한가? 교회는 큰 무리지만, 소그룹 성경공부는 개인 간의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고, 성경 지식을 함께 탐구하며, 서로 격려와 책임감을 다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정기적으로 함께 모여 성경공부와 교제를 가짐으로써 더 깊은 관계를 형성하고, 서로 지탱과 격려를 주고받으며, 교회 안에서 더 긴밀한 공동체와 책임감을 형성하며, 교회를 성장시킬 리더를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소그룹 사역을 감당해야 하는 세 가지 이유 1. 깊은 교제와 공동체 형성 * 소그룹은 같은 관심사, 도전, 삶의 단계를 공유하는 사람들을 연결하여 교회 안에서 소속감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공유된 유대감은 교회를 강화하는 힘이 됩니다.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05 - 수다 소그룹 NO, 경청 소그룹 YES

조회수 2516

소그룹 안에 절제가 없으면, 처음에는 사소하고 정다운 수다로 시작된 것이 후에는 말의 홍수가 되어 모임을 방해하게 됩니다. 말이 지나치게 많은 사람은 자신이 나누는 이야기에 대해 부끄러움을 잘 느끼지 않으며 장시간의 침묵을 견디지 못합니다. 이런 그들의 행동 이면에는 다른 사람들과의 깊은 친밀함이나 자신을 노출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숨어 있습니다. 이런 사람은 모든 사람들의 이야기에 끼어 들어서 다른 누군가가 주의를 기울여 개입하지 않으면 모임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말이 지나치게 많은 사람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도 소그룹의 역동성을 꺾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빌 도냐휴 목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그룹의 기본 방침을 정...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03호 - 그리스도의 노예로 살아가라

조회수 2161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목숨이라는 값비싼 대가로 우리를 사셨습니다(고전 6:20) 예수님의 노예가 된 우리는 왕을 신실하고 기쁘게 섬기기 위해 자기 생명과 권리를 포기하며 그분의 길을 따라가야 합니다. 이를 위해 “나는 종입니다”라는 거룩한 정체성을 가지고 이 땅 가운데서 전적으로 자신을 사랑하고 베푸는 주인을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톰 레이너는 이 땅에서 착하고 충성된 종으로 온전히 살기 위해 다음 몇 가지를 권면합니다. 기꺼이 꼴찌를 선택하라 종은 꼴찌가 되길 선택하는 것을 넘어 꼴찌가 되기를 갈망해야 합니다. 열두 제자는 야고보와 요한의 어머니가 예수님께 상상할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00호 - 나를 반대하는 사람과 화합하는 법

조회수 2393

소그룹 리더가 될 사람들은 이 한 가지를 꼭 명심해야 합니다. 어디에서 무슨 사역을 하건 공동체 안에 리더에게 반기를 드는 사람이 반드시 있습니다. 그중에는 리더라면 무조건 쌍심지를 돋우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자신이 이미 리더로서 섬기는 사람이라면 굳이 더 말하지 않아도 알고 있을 것입니다. 이미 그러한 사람들 속에서 일하고 있을 테니 말입니다. 그러다가 세력이 확대되면 반드시 저항 세력이 일어나기 마련입니다. 만약 당신에게 저항하거나 반발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면 필시 당신은 이제 갓 부임한 새내기 리더이거나, 교회나 사역에서 아직 이렇다 할 업적을 세우지 못했거나, 아니면 뭔가 심각하게 잘못된 경우에 해당될 것입니다. 누군가 자신의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91호 - 소그룹에 맞닥뜨린 장애물을 슬기롭게 돌파하라

조회수 3007

구성원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소그룹을 창조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모든 소그룹들이 어떤 모양으로든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구성원들이 성장하려면, 그들이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약한 부분까지 노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소그룹을 인도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사람들이 정서적으로 투명할 때 문제가 수면 위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바로 이 순간에 소그룹을 바른 방향으로 인도하는 것이 리더의 할 일입니다. 리더가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지켜야 할 원칙이 두 가지 있습니다. 첫 번째 해결책은 문제의 장본인이 성장하고 온전해지도록 돕는 것이어야 합니다. 두 번째 해결책은 소그룹 전체가 성장하고 온전해지도록 돕는 것이어야 합니다. 다음에 제시...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