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906호 - 리더가 떠나는 이유와 해결책

조회수 116

리더가 떠나는 이유와 해결책 조직의 핵심인 리더들은 누구보다 헌신적일 것이라 기대되지만, 건강하지 못한 리더십 문화에서는 오히려 그들이 먼저 떠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더들은 특유의 ‘리더의 눈’으로 문제를 가장 먼저 발견하며, 리더십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기 때문에 잘못된 리더십 아래에서는 쉽게 좌절감을 느끼고, 상황이 지속할 경우 조직에 대한 신뢰와 애정을 잃게 되기도 합니다. 리더의 이탈을 부르는 요인 리더십이 조직의 성장과 안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잘못된 리더십 스타일은 오히려 조직을 위기로 몰아넣고 중요한 리더들을 떠나게 만듭니다. 리더의 이탈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를...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06 - 건강한 소그룹이 되기 위해 피해야 할 네 가지

조회수 2410

역기능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안타깝게도 자신의 가정이 역기능적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합니다. 마찬가지로 역기능 소그룹에 속한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소그룹이 역기능적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그룹 내에서 말씀 나눔 없이 불평만을 나누거나 지나치게 교제에만 집중하는 것과 같은 역기능적인 행동들이 보편적이라 생각할 뿐 아니라 잘못되었다는 사실조차 깨닫지 못할 수 있습니다.톰 레이너 박사가 설립한 기독교 리소스 기관 Church Answers에서 펴낸 <Church Answers Resources> 시리즈 중 한 권인 <How to Lead a Healthy Small Group>은 역기능 소그룹에 관해 이...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64호 - 지속가능한 사역을 위해 해야 할 일

조회수 2456

일평생 하나님의 종으로 부름을 받아 사역자가 되고, 공동체를 이끄는 리더가 된 자로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진액을 쏟으며 사역하고, 맡은바 사역을 더욱 온전히 감당하고자 하는 것은 모든 교회 리더의 기도 제목입니다. 그리하여 이왕이면 ‘지속 가능한 사역’을 하고자 하는 것은 리더의 간절한 소망입니다. 그렇다면 마음의 소원대로 이런 리더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래의 몇 가지 사항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1. 하나님께서 허락하시는 비전을 능동적으로 이루어 가십시오! 비전은 리더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위한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세우신 리더에게 때에 따라 비전을 허락하시고, 그 비전을 이루어가기를 바라시며, 도우십니다. 그러...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90호-기도와 함께 걸어가는 소그룹

조회수 2566

자신의 소그룹이 죽기를 바라는 사람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누구도 사랑하는 소그룹을 떠나보내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누구도 많은 세월 동안 몸과 마음을 바쳤던 소그룹을 잃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소원과는 달리 어떤 소그룹들은 죽습니다. 소그룹을 죽어가게 하는 원인으로 여러 가지를 꼽을 수 있지만, 그중 하나는 ’기도 없음‘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소그룹은 ’기도 없음은 곧 소망 없음‘이라는 것을 깨닫고, 기도하는 일에 힘써야 합니다! 바꾸어 말하면, 소그룹은 ’기도‘와 함께 걸어가야 합니다! 사도행전 2장 42절을 보면, “그들이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하고 떡을 떼며 오로지 기도하기를 힘쓰니라.”라고 적혀 있습니다. 보통은...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85호 - 소그룹 리더십의 10가지 기본 원칙

조회수 4586

소그룹은 리더십이 승패를 가름합니다. 그만큼 한 공동체가 생명력을 가지고 영적인 재생산이 일어나며 구성원들에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소그룹 리더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소그룹 전문사역기관 라이프투게더(Lifetogether, Inc.)의 설립자 브렛 이스트맨(Brett Eastman)은 그의 동역자 케일럽 앤더슨(Caleb Anderson)과 함께 “소그룹 리더십의 10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내용을 한국교회 소그룹 현장에 맞게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첫 번째, 혼자가 아님을 기억하라 소그룹 사역은 결코 리더 혼자만의 사역이 아닙니다. 이 사역은 하나님께서 동행하시는 사역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82호 - 영혼 돌봄을 위한 소그룹 리더십

조회수 3044

사도 요한은 이 세상의 정욕은 지나는 것이라고 말하며, 오직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것은 영원하다고 말했습니다(요일 2:17). 그러나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통치하심을 갈망하면서도 세상에 있는 것들을 사랑합니다. 성도들이 붙잡을 것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삶만이 영원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들에게 무엇을 먹을까, 입을까, 마실까 걱정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이것은 이방인들이 구하는 것이라는 말씀하셨습니다. 대신 성도가 구할 것은 그의 나라와 그의 뜻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성도라면 하나님의 다스리심이 이 땅 위에 이루어지고, 우리들의 삶이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이런...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43호 - 비난하지 않는 리더

조회수 3801

미국의 유명 강사이자 작가인 데일 카네기(Dale Carnegie)는 자기계발서의 최초라고 할 수 있는 <인간관계론>(How to Win Friends and Influence People)을 썼습니다. 1936년에 처음 출판된 이 책은 전 세계적으로 6천만 부 이상 판매되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웠습니다. 기존의 책들과는 다르게 수많은 사례들을 바탕으로 견고히 세워진 이론을 전달하고, 실제적이고 실천가능한 지침들을 소개했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습니다. 그는 카네기 연구소를 설립해 인간 경영과 자기 계발 분야 최고의 컨설턴트가 되었으며, 이후 수많은 저서를 통해 인간관계에서 나타나는 심리와 스트레스를 분석하고 인간 관계론을 체계화시켰습니다.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59호 - 휴먼터치로서의 소그룹

조회수 4297

코로나19 사태로 우리는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길에 진입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우리의 생각이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엄청난 도전을 주었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21세기 세상의 정치?경제?문화?예술 등 사회 모든 분야와 특별히 교회로 하여금 그야말로 ‘코페르니쿠스적인 대전환’을 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래서 코로나 이후의 변화를 ‘포스트 노멀’(Post Normal)이라고도 합니다.   우리 사회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우려하여 비접촉 비대면 사회로 이미 들어섰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사람들은 이런 세상을 ‘뉴노멀’(new normal)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런 비상 상황 속에 있는 오늘 교회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52호 - 사람들이 몰려오는 소그룹 전도법

조회수 4061

소그룹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소그룹이 존재하는 이유에는 예배, 양육, 친교, 전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소그룹이 존재하는 이유 중 중요한 한 가지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전도입니다. 소그룹에 새로운 구성원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아마도 소그룹의 다이내믹이나 순수성은 사라지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보통의 경우 결혼한 부부가 새 생명을 잉태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듯이 건강한 소그룹 안에 새 생명이 태어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모습일 것입니다. 우리의 소그룹 안에 새 생명의 탄생을 축하하며 기념할 수 있는 순간을 만들 수 있는 방안으로 소그룹 전도의 몇 가지 원리를 나누어봅시다.   첫째, 영혼을 사랑하고, 전도훈련을 받은 ...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19호 - 하나님과 함께하는 삶

조회수 4607

영적 훈련을 형식적으로만 흉내 내지 않고 실제 하나님과 ‘함께하는 삶’으로 하나님을 ‘위한 일’을 뒷받침하려면 창의성과 끈기뿐 아니라 시행착오가 필요합니다. 이것을 실제로 해본 사람이라면 깊은 고민과 사전 계획이 필요하다는 점을 잘 알 것입니다. 하나님과 함께 하는 삶은 참으로 풍성하고 아름답습니다. 그런 삶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삶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합니다. 뉴 라이프 펠로십교회의 설립자인 피터 스카지로는 그의 책 <정서적으로 건강한 제자>에서 몇 가지 가이드라인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안식일의 쉼을 실천하라 하나님께서 온 우주를 다스리시기 때문에 우리가 일을 멈춘다고 해서 세상이 무너지지 않습니다. 우리가 나서지 않아도 하...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