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839호 - 더는 독서하는 사람이다

조회수 2974

영국 비평가 월엄 엠프슨은 C. S. 루이스를 “당대에 책을 가장 많이 읽은 사람. 무엇이든 읽고, 읽은 것은 전부 기억한 사람”이라고 평했습니다. 정말 그런 것이 루이스는 독서가 몸에 배어 있었고 또한 깊이 몰입해서 읽었습니다. 그가 함께한 동료 학자들은 그가 옥스퍼드의 보들언 도서관에 몇 시간씩 앉아 주변에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도 모른 채 책을 정독하며 그 내용을 빨아들였다고들 이야기합니다. 자택 서재에서 책을 읽을 때는 대개 여백에 메모도 하고 책 안에 색인도 손수 만들었습니다. 그의 회고록 <예기치 못한 기쁨>에서 밝힌 일과를 보면, 오후에 하는 식사나 산책, 차 마시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그고 다시 오후 5시부터...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38호 - 지위(Position) 더십

조회수 2879

지난 40년간 전 세계 180개국 600만 명 이상의 지도자를 훈련시킨 더십의 대가이자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베스트셀러 작가인 존 맥스웰(John C. Maxwell)은 더십을 다섯 가지 단계로 분류합니다. 좋고 나쁨의 기준이 아닌 성장 과정의 기준을 바탕으로 지위-관계-성과-인재 개발-구루 더십으로 이어지는 “5단계 더십” 중에 공동체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지위 더십”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5단계 더십(The 5 Levels of Leadership)에서 지위 더십(Level 1: Position)은 더십 중에서 가장 낮은 단계이자 입문 단계입니다. 지위형 더가 가진 유일한 영향력은 직함에서 나옵니다. 지위형 ...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37호 - 더, 사기꾼이 아닌 사잇꾼이 되라

조회수 3063

신뢰성의 위기를 겪고 있는 한국교회 더십 4월 27일자 국민일보 보도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과 대선 기간을 지나는 동안 한국교회의 신뢰도가 급락했습니다. 2020년 조사 당시 31.8%였던 신뢰도가 2022년도 조사에서는 18.1%까지 떨어졌고, 신뢰 회복을 위해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는 교회 지도자들의 윤적인 삶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0.2%로 가장 많았다고 합니다. 지금 한국교회에 필요한 것은 더들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되었습니다. 그런 시점에서 세상에서도, 교계에서도 주목을 받던 한 더의 소천과, 그의 더의 덕목에 대한 마지막 언급이 큰 울림을 줍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암 투병 끝에 지난 2월 26일 향년 89세로 소천한 이어령 교수입니다...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36호 - 목회자의 마음 다스기: 교인이 교회를 떠날 때

조회수 3190

성경은 자기의 마음을 다스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낫다고 말합니다(잠 16:32). 사람이 자기의 마음을 다스는 일은 그만큼 가치가 있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자기의 마음을 날마다 온전히 다스는 일은 절대 쉽지 않습니다. 세상에는 자기 마음을 힘들게 하는 일들이 널려 있습니다. 자기 자신의 의지와 힘만으로는 마음을 지키는 일이 어렵기에,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 그스도 예수 안에서 자기 자신의 마음을 지키실 줄로 믿고 구해야 합니다(빌 4:7).   ‘마음을 다스는 일’을 기도 제목으로 삼고, 이 일에 힘써야 하는 것은 성도나 목회자나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목회자는 목회하며 다양한 상황 가운데 마음을 다스려야 할 일...

자세히 보기 →

[개요] 13기 『생명의 공동체를 세우는 40일, 우가 교회입니다』 세미나

Under 양육체계 조회수 4417

위드 코로나로 에프터 코로나를 준비해야 할 2022년! 회복을 넘어 부흥으로 나아가는 교회가 되기 위해 여러분은 무엇을 준비해 두셨습니까? 코로나 팬데믹은 우 교회가 얼마나 교회의 본질에 충실해 왔는지, 우 교회 성도들이 얼마나 온전한 제자로 무장된 삶을 준비해 왔는지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여 주었습니다. 코로나 펜데믹 기간 동안 흩어져 각자 '교회'로 살아가야만 했던 성도들은 온전한 제자의 삶을 살았습니까? 모일 수 없었던 교회를 '교회'로서의 정체성과 생명력을 온전히 유지했습니까? 이제 위드 코로나 팬데믹 대응전략이 수정되었고, 곧 에프터 코로나 시대가 도래할 것입니다. 여러분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의 회복이 아니라 우 주님께서 그렇게도 바라시는 부흥으...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35호 - 구성원의 자발성을 깨워라

조회수 2959

“지금은 더십에 대한 정석을 모두 뒤집어야 할 때이다.” 『두려움 없는 조직(The Fearless Organization)』의 저자인 하버드 대학 에이미 에드먼슨(Amy Edmondson) 교수가 한 말입니다. 지금까지는 위계적인 조직 구조 하에서 더들이 그간 축적한 개인 경험과 지식을 기반으로 구성원들을 일사불란하게 이끄는 형태의 더십이 유효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더십 효과는 점점 떨어지고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건강한 조직 문화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까요? 우선 환경의 변화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커진 비즈니스 환경에서, 더가 ...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34호 - 경청기술을 개발하는 7가지 법칙

조회수 4698

사람들은 자신의 순서를 기다느라 정작 다른 이들이 말하는 것을 듣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성공한 사람들을 두루 살펴보면 잘 듣는 것의 파워를 알고 있습니다. 잘 듣는 능력은 다른 사람과 좋은 인간관계를 만드는 기초 중 기초입니다. 린든 존슨은 텍사스의 젊은 상원 의원 시절 사무실 벽에 이런 액자를 걸어놓았습니다. “말하는 동안에는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다.” 세계 최고의 더십 전문가로 알려진 존 맥스웰 박사는 좋은 경청자가 되기 위해서는 스스로 듣기를 원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고 말하며, 이를 위해서 경청기술을 개발하는 7가지 기술을 제안하였습니다. 1. 말하는 사람을 주목하라 모든 듣기 과정은 다른 사람에게 지대한 관심을 보이는 것과 함께 시작해야 합...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64호 - 소그룹 사역의 5가지 독

조회수 3674

사역 단체 <The E2 Initiative>를 섬기는 마크 하웰(Mark A. Howell) 목사는 “소그룹은 때로 전혀 해가 없어 보이고 위험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큰 위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그는 소그룹에 독이 되는 5가지를 다음과 같이 소개합니다.   1. 다른 소그룹 모델의 체계와 전략 등을 가져와 바꿉니다 모든 소그룹에는 소그룹의 중심이 되는 모델과 체계, 그고 버전이 있습니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부르든지 변형된 모델은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더는 소그룹 모델에 관한 좋은 책을 읽었거나, 더 좋아 보이는 콘퍼런스에 참여했다고 해도, 소그룹의 체계와 전략 등을 바꾸는 일에 대해 최소한...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33호 - 비대면 시대 필요한 대화의 조건과 능력

조회수 3396

비대면 시대에 더에게 필요한 소통 능력은 무엇일까요? 팬데믹으로 인해 많은 것이 바뀌었고, 사회 전반에 걸쳐 비대면 모임이 선호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팬데믹이 완전히 사라지게 되어도 새롭게 시작된 변화의 물결이 멈추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비대면 시대가 될수록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일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물적 거가 멀어질수록 ‘마음의 연결’이 더욱 중요해지기 때문입니다.   마음을 나누는 적극적인 대화는 질문과 경청으로 이뤄집니다. 묻지 않고서는 마음의 실체를 알 수 없고, 듣지 않고서는 다음 질문을 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온라인상에서는 질문하지 않은 채 판단하거나, 듣지 않으면서 이해했...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32호 - 상황에 따라 선택해야 할 더십의 7영역

조회수 2881

과거의 통제형 더십은 점점 사라지고, 더는 이제 사람들에게 지시하기 보다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물어보고 계획을 그대로 실천하기 보다 새로운 환경에 맞추어 변경해 나가기를 요구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의 전통적인 더십과 오늘날 새로 등장한 스타일의 더십은 어느 하나만 답이 될 수 없습니다. 좋은 더는 두 스타일을 상황에 맞게 모두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IMD(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의 교수진 세 사람(Jennifer Jordan, Michael Wade, Elizabeth Teracino)전통적인 스타일의 더십과 새로운 형태의 더십이 명확히 대비되는 일곱 가지 포인트를 제시하...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