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741호 - 미래 지향적

조회수 5686

지난 1월 23일부터 26일까지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제 48회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 3,000여명의 명사들이 참여하여 “균열된 세계에서 공동의 미래창조(Creating a Shared Future in Fractured World)”를 주제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흔히 ‘다보스 포럼’이라고 불는 이 모임은 전 세계가 함께 움직여 공동의 미래를 창출해 나가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사회 다방면에서 급변하는 상황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미래 지향적인 사고를 가지고 일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 것입니다. 목회자는 미래 지향적이어야 합니다. 목회자는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가운데 미래를 예측하며 준비하고, 교회 구성원들...

자세히 보기 →

[소그룹] 471호 - 방관자가 아닌 봉사자로

조회수 5546

그의 가슴은 감당할 수 없는 업무의 양으로 짓눌고 있었습니다. 매일 기진맥진해가는 자신을 보면서도 할 수 있는 것은 없어 보였습니다. 그때, 그의 장인어른이 다가와 생각지 못한 제안을 했습니다. “자네는 이 모든 것을 다 감당할 수 없네, 백성 가운데서 능력 있는 사람들, 곧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진실하며 불의한 이익을 미워하는 자를 살펴서 백성 위에 세워 천부장과 백부장과 오십부장과 십부장을 삼아 작은 일은 스스로 결정하도록 하고, 큰 일을 해결하도록 하게나." 누구의 이야기일까요? 바로 모세와 이드로의 이야기입니다. 우는 어떻게 하면 이런 신실한 사람들을 세워나갈 수 있을까요? 어떻게 우의 사역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봉사자, 즉 자신의 은사가 발견되고 개발되어 풍성...

자세히 보기 →

[개요] 11기 성경대학·교대학 집중세미나

Under 양육체계 조회수 7294

목회의 성패는 건강한 양육과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전국의 제자훈련 교회들이 좀 더 효과적인 양육 시스템을 갖추도록 돕기 위해 사랑의교회에서 2010년부터 지금까지 사용하며 그 효과가 검증된 성경대학(구약과정)과 교대학(전체과정)의 내용과 인도법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절대 진를 부정하는 적대적인 세상 속에서 영적 전투를 감당하는 성도들이 강력한 성령의 검으로 무장하게 될 것입니다. 집중 세미나에서 다루는 내용 사랑의교회 성경대학(구약과정) 또는 교대학(전체과정) 강의 전체를 빠짐없이 다룹니다.(성경대학-신약과정 강의는 가을에 진행됩니다.)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470호 - 해결을 향해 항해하기

조회수 5695

다음의 지침은 당신이 구성원들 사이에서 혹은 그룹 전체에서 갈등을 헤쳐 나갈 때를 위한 것입니다. 당신은 말하기 어려운 진실을 캐물어야 할지 모릅니다. 아니면 당신과 갈등에 처한 형제나 자매와 남은 10%도 숨김없이 이야기할 때인지도 모릅니다. 지침1: 곧 시작하라 당신에게는 감정을 가라앉힐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2주 이상 갈등을 지연시키지는 말아야 합니다. 가능한 빨 화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나는 다른 교회에서 한 직원과 나눴던 감정적인 대화를 기억합니다. 그 토론은 성경적이었지만, 점점 과격해졌습니다. 낙심한 내 동료는 “9개월 전에 자네가 한 말이 나에게 상처가 되었지….” 9개월 전이라니! 나는 그가 또 얼마나 많은 상처들을 쌓...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39호 - 셀프 더십(Self-leadership)

조회수 6783

더는 본능적으로 자신이 이끄는 사람들을 향해 더십을 발휘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훌륭한 더는 동서남북 전방위에 걸쳐 더십을 발휘합니다. 맡겨진 사람들에게만 집중하지 않고 주위의 여러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치는 것입니다. 비자카드의 창립자인 디 호크(Dee Hock)는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우더십에 쏟는 힘의 절반을 뚝 떼어 자신에게 먼저 투자한 다음, 나머지 절반으로 아랫사람, 윗사람, 좌우를 지도하는 데 써야 합니다.” 디 호크의 말처럼, 더는 더십의 가장 많은 부분을 다른 사람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할애해야 합니다. 이른바 ‘셀프 더십(Self-leadership)’이 필요한 것이지요. 사무엘상 30장에서 다윗은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이합니다. ...

자세히 보기 →

[개요] 10기 성경대학·교대학 교재 설명회

Under 양육체계 조회수 8881

2018년 교회를 건강하게 할 양육 프로그램을 찾고 계십니까?여러분이 섬기는 공동체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제자들의 공동체가 되기를 원하십니까? 제자훈련 목회의 성패는 건강한 양육·훈련 시스템 구축에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무엇보다 ‘말씀의 기초’와 ‘교의 뼈대’는 성도를 그스도의 온전한 제자로 세워가는 일에 필수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경대학·교대학 과정은 절대진를 부정하는 적대적인 세상 속에서 제자로 살아가야 하는 성도들의 영혼을 부요하게 하고 튼실하게 살찌울 수 있는 하나님의 비밀병기가 될 것입니다. ※ 이번 무료 설명회는 사랑의교회 성경대학·교대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더불어 목회현장에 곧바로 접목하실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38호 - 더문화가 필요하다

조회수 5914

아파트나 주택단지를 보면 한 가지 신기한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집들은 전부 똑같이 생겼지만 그 안에 있는 가정들은 서로 전혀 다르다는 것을 말입니다. ‘가정’은 집이라는 건물이 아닌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 공동체를 의미합니다. 가족들의 가치관, 태도, 생활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가정’이라는 환경은 그 집에 사는 사람들에게 ‘집’이라는 건물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낡고 허름한 집에서 행복하게 사는 가정이 있는 반면 호화로운 집에서 비참하게 사는 가정이 있는 것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교회의 더훈련도 마찬가지입니다. 각 목회자들이 모두 동일한 훈련 방식과 내용으로 더를 훈련하고 세우더라도 그 결과는 분명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 차이는 바로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468호 - 훈련 소그룹의 7가지 원칙

조회수 6368

훈련 소그룹은 운영 테크닉으로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원칙이 중요합니다. 테크닉은 상황에 맞게 변화시켜야 하는 것이지만 원칙은 변함없는 것입니다. 테크닉은 쉽게 익히는 것이지만, 원칙은 때론 평생에 걸쳐 익혀야 합니다. 제자훈련 목회의 거장 에드먼드 챈이 <의도적으로 제자훈련하는 교회>에서 공개한 멘토링을 위한 7가지 원칙은, 훈련 소그룹의 7가지 원칙을 제시합니다. 1. 훈련은 우가 ‘무엇’을 하느냐보다 우가 ‘누구’인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입니다. 훈련 소그룹은 더가 훈련생들을 재생산 하는 과정입니다. 더는 궁극적으로 자신을 닮은 사람을 재생산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자신이 한 행위보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가 하는 것이 훈련생에게 더 큰 영향을 끼...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37호 - 더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조회수 8417

의사소통은 교회 성도들이 함께 유연하게 일할 수 있는 윤활유 역할을 합니다. 그고 교회의 사명을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관계들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만약 사역의 과정에서 더가 성도와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하지 못하고 적절하게 마음을 나누지 못하면 가지고 있는 비전이 아무 위대한 것이라 하더라도 아무것도 이룰 수 없게 됩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서로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서로의 감정 처를 명확하게 하고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진실을 말할 때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진실이 전달되지 않으면 정말 필요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진실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신뢰 관계가 있어야 ...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36호 - 교회의 위기, 더의 정서적 분화가 중요하다

조회수 5466

한겨울의 이른 주일 아침, A,B 두 교회에 똑 같은 위기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발단은 교회의 보일러가 터진 것이었습니다. 주일 오전 예배를 위한 난방을 하기에 수 시간도 부족할뿐더러, 쌓인 눈과 오물 등으로 하수구까지 막혀 보일러가 터진 물과 함께 교회 지하의 어린이집이 침수되었습니다. 관집사와 건물관위원회의 장로, 유치원장 권사, 담임목사는 주일 아침 짧은 시간 내에 쌓인 눈을 치우고 보일러 수를 하며, 예배시간을 조정하고, 어린이집을 청소할 방법을 마련해 월요일 성도들의 자녀들이 무사히 등원하게 하는 일을 결정해야 했습니다. 두 교회의 대응은 사뭇 달랐습니다. A 교회에 눈을 쓸러 출근했다 난통을 발견한 관집사는 건물관담당 장로에게 전화를 걸...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