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그룹] 484호 - ‘나’와 ‘우’의 역할이 공존하는 소그룹

조회수 4626

두 가지 1인칭 인칭대명사 자기 자신을 가킬 때 쓰는 1인칭 인칭대명사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나’이고, 다른 하나는 ‘우’입니다. 그 중에서도 ‘우’라는 표현은 일상에서 자주 쓰입니다. 특히 ‘우나라’ 사람들은 ‘우’라는 표현을 아주 좋아합니다. 그래서 ‘나’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우’를 사용합니다. 자신의 배우자를 ‘우’ 남편 또는 ‘우’ 아내라고 부르거나, 혼자 사는 사람이 자신의 집을 ‘우’ 집이라고 부릅니다. 사소해 보이지만, ‘나’와 ‘우’는 아주 큰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수인 ‘나’는 주로 개인적인 관점에, 복수인 ‘우’는 공동체적인 관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심학 연구 결과들을 따르면, 개인...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53호 - 우 교회도 변할 수 있을까(1)

조회수 4676

데릭은 미국 중서부에 약 250명 정도의 성도들이 출석하는 디머교회의 담임목사였습니다. 그는 23년의 목회 경험과 매력적인 성품을 바탕으로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고 있었습니다. 데릭은 점점 회중 가운데 청년들의 숫자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고는 그의 설교 스타일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그가 시도한 조금 더 대화적이고 격식에서 벗어난 스타일의 설교는 실제로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었습니다. 중장년층도 설교 스타일의 변화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는 눈치였습니다. 그러던 중 데릭은 8년 내내 사용하던 강대상이 점점 거북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아무 봐도 그 오래된 강대상은 성도들과의 사이를 가로막는 거대한 나무 장애물처럼 느껴졌습니다. 마침내 데릭은 그 강대상...

자세히 보기 →

[소그룹] 483호 - 소그룹 더십의 10가지 기본원칙

조회수 5761

가을 사역을 시작하면서, 뜨거운 여름의 휴가기간, 단기선교, 수련회 등은 소그룹이 평상시와 같은 모임을 유지할 수 없게 만드는 외적 요인이 되었을 것입니다. 여름사역기간에 경험한 은혜나 어려움 모두를 가을사역 첫 소그룹 시간을 통해 아름답게 갈무 해야만 남은 한해 소그룹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 것입니다. 미국의 소그룹 사역 전문사역기관 라이프투게더(Lifetogether, Inc.)의 설립자 브렛 이스트맨(Brett Eastman)이 그의 동역자 케일럽 앤더슨(Caleb Anderson)과 함께 제시한 “소그룹 더십의 10가지 기본원칙”을 소개합니다. 소그룹 더들이 9월의 소그룹 사역을 시작할 때 기준으로 삼을 유익한 원칙이 되길 바랍니다. 소그룹 더십의...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52호 - 통제력 되찾기

조회수 4575

스도인들은 인생을 걸고 자신의 사명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통제력을 되찾는 훈련도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오래된 습관을 버고, 삶을 새롭게 바라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훈련의 방법으로 자신을 가꿔 나가 봅시다. 직장에서도, 놀 때도, 가정에서도 일을 위임해야 합니다. 혼자서 모든 일을 할 수는 없으며, 하려고 해서도 안 됩니다. 후반부에서도 원래 하던 일을 계속하되 일하는 속도를 절반으로 줄이려는 사람들이 특히 유의할 점입니다. 일을 더 열심히 하기보다 더 영하게 해야 합니다. 가장 잘하는 일을 남기고 나머지는 손을 떼야 합니다. 나는 어떤 일을 머릿속으로 생각하기를 좋아하는 반면에 그 일을 직접 실행...

자세히 보기 →

[개요] 제1기 『생명의 공동체를 세우는 40일, 우가 교회입니다』 세미나

조회수 8718

“어떻게 공동체에 생명을 불어 넣을 수 있을까?” 교회가 매너즘에 빠지지 않고, 예수님의 몸 된 교회를 갱신해 나가는 작업은 모든 그스도인의 사명입니다. 이를 위해 항상 가장 가치 있는 삶을 사는 길이 무엇인지를 묻고, 그것을 삶으로 체질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생명의 공동체를 세우는 40일, 우가 교회입니다』 는 신앙 운동을 넘어 복음으로 삶을 체질화할 수 있도록, 교회에 역동성과 생명력을 불어 넣어 줄 가장 강력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 성도로서의 사명을 온전히 붙잡고, 공동체 전체가 다시 비상하도록 돕는 이 세미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세미나에서 다루는 내용 “공동체 고백...

자세히 보기 →

[개요] 12기 성경대학·교대학 집중세미나

Under 양육체계 조회수 6270

목회의 성패는 건강한 양육과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전국의 제자훈련 교회들이 좀 더 효과적인 양육 시스템을 갖추도록 돕기 위해 사랑의교회에서 2010년부터 지금까지 사용하며 그 효과가 검증된 성경대학(신약과정)과 교대학(전체과정)의 내용과 인도법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절대 진를 부정하는 적대적인 세상 속에서 영적 전투를 감당하는 성도들이 강력한 성령의 검으로 무장하게 될 것입니다. 집중 세미나에서 다루는 내용 사랑의교회 성경대학(신약과정) 또는 교대학(전체과정) 강의 전체를 빠짐없이 다룹니다.(성경대학-구약과정 강의는 봄에 진행됩니다.)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482호 - 잠재적인 더들을 찾으라

조회수 4842

당신이 더로서 성장해 갈 때 잠재적인 더들을 찾으십시오. 모든 사람은 더가 될 수 있다는 사고방식을 갖고 시작해야 합니다. 조엘 코미스키(Joel Comiskey)는 8개의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700명의 유능한 소그룹 더들을 연구한 결과에 대해서 이렇게 말합니다. “성장하며 성공하는 소그룹을 인도할 잠재력은 타고난 재능이나 교육, 매력적인 성격에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무엇보다도 해답은 노력에 있다.” 버티 대학에서 제자훈련 책임자로 일하고 있는 데이브 얼 교수는 “성공하는 소그룹 더의 8가지 습관”에서 잠재적인 더들을 발견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첫째, 일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보라. 잠재적인 더를 발...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51호 - 지원군이 되는

조회수 4642

지속 가능한 집단 픽사(Pixar Animation Studios)는 1995년 이후 제작한 16편의 영화로 편당 평균 5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린 세계적으로 유명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입니다. 초창기에 픽사는 고전을 면치 못했습니다. 많은 실패를 경험하고 좌절하고 있을 즈음, 1995년에 제작한 <토이 스토(Toy Story)>가 3억 6000만 달러의 흥행을 기록하면서 비로소 성공가도를 달기 시작했습니다. 이때 픽사의 창립자 에드윈 캣멀(Edwin Catmull)은 영화의 성공을 기뻐하던 다른 사람들과 달 깊은 고민을 하나 하게 되었습니다. ‘지속 가능한 집단을 어떻게 만드는가?’ 그는 세계적인 영화사로 성장했던 많은 회사들이 어느 순간 난관에 부딪...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50호 - 메인더와 서브더간의 관계는 어떠해야 하는가?

조회수 6716

그룹 더십 구조의 시대. 더가 하나인 조직도 많지만, 훨씬 더 많은 조직이 메인더와 서브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동체의 더십을 구성하는 시대적 흐름은 전체를 총괄하는 메인더와 더불어, 특정 인원, 특정 분야에 대한 더십을 분배받은 서브더가 함께 더십 그룹을 형성하는, 그룹 더십 구조의 형태입니다. 메인 더들은 보통 일반 멤버와의 관계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가지기 쉽지만, 그룹 더십 구조에서 메인더가 진정으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서브더와의 관계입니다. 좋은 메인더는 서브더들이 자신을 만나기 전 능력과 만난 후의 능력을 명확히 구분해 줄수 있는 사람입니다. 다시 말하면, 좋은 메인더는 서브더들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더입니다. 일반 회사...

자세히 보기 →

[소그룹] 480호 - 우는 잘 듣지 못한다

조회수 4064

학 교수 데이비드 배너(David G. Benner)의 말처럼 경청 능력의 성장을 막는 주된 걸림돌은 우 대부분이 이미 스스로 잘 듣는 사람이라 생각하는데 있습니다. 우 스스로 잘 듣는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에 근거해야 합니다. 심치료사들에 따르면 많은 내담자가 상담을 받으러 오는 이유는 단순히 자신의 가장 중요한 인간관계 속에 들어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입니다. 경청하는 법을 배워야 함은 말만 많아서는 결코 우가 원하는 관계를 이룰 수도 없고 원하는 사람이 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우가 동경하는 친밀함은 일방적 대화를 통해서 또는 경쟁처럼 느껴지는 교류를 통해서는 실현될 수 없습니다. 우의 정체를 발견하려면 다른 목소들과 별개로 내 목소만 찾아서는 안 되...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