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그룹] 495호 - 성장하는 소그룹의 비밀 - 기도

조회수 4558

기도는 소그룹의 가장 강력한 성장의 도구 중 하나입니다. 하나님이 뜻하신 기도는 사람들이 그분과 교제하여 삶의 만복을 누는 통로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소그룹으로 함께 모여 기도할 때, 어떻게 기도하는 것이 옳은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당신 그룹에 기도의 자를 정한다 기도의 개입 폭은 그룹에 따라 다릅니다. 기도 시간을 따로 할당하는 그룹도 있고 시작하거나 끝날 때만 기도하는 그룹도 있고 그때그때 자연스런 기도를 허용하는 그룹도 있습니다. 그룹 기도나 합심 기도가 적절하지 않은 상황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단적인 예로 불신자들을 전도하기 위한 구도자 중심의 그룹이 그런 경우입니다. 기도의 자를 멤버들과 얘기한다 기도의 자를 어떻게 정했든 반드시 모...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64호 - 영적 성장의 길

조회수 5393

가 가야 할 길은 오직 하나, 제자의 길입니다. 이 길은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고단한 길입니다. 제자는 우의 영원한 모본이신 예수님을 닮아가는 일에 헌신해야 합니다. 사도바울은 에베소 성도들에게 그분을 아는 넓이와 길이와 높이와 깊이를 몸소 깨달아 하나님의 충만함에 이르기를 원했습니다. 케네스 해긴 목사는 <하나님과 동행하기> 라는 책에서 성도가 영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다섯 가지 원를 제시합니다. 이러한 단계를 밟아 가면, 우는 사랑으로 진를 말하며 모든 일에 머 되신 그스도를 닮아가게 될 것입니다. 1단계: 잊어버는 법을 배우라 영적 성장의 1단계는 과거를 잊어버는 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바울은 주님 안에서 자라면서 주님...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63호 - 최소치를 넘어 능동이 되게 하라

조회수 4218

예수님의 말씀은 그 당시에 굉장히 도전적이고 진보적이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통해 심령의 변화와 회개의 역사를 체험하였지만, 어떤 이들은 예수님이 율법에 대해 느슨하며 토라를 훼손함으로써 사람들을 그릇된 길로 인도한다고 비판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말씀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예수님은 오히려 율법에 대해 기준치를 높이셨습니다. “너희 의가 서기관과 바새인보다 더 낫지 못하면 결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라”(마5:20). “만일 네 오른 눈이 너로 실족하게 하거든 빼어 내버라 네 백체 중 하나가 없어지고 온몸이 지옥에 던져지지 않는 것이 유익하며”(마5:29). 율법에 울타 치기 랍비의 해석을 주관하는 한 가지 중요한 원는 ‘토라 주변에 울타 치기’였...

자세히 보기 →

[소그룹] 493호 - 한해 사역을 앞둔 소그룹 더가 준비해야 할 것

조회수 4833

새로운 소그룹이 막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올 한해 소그룹에서 사용할 교재, 또는 교회의 한해 표어를 정하는 것은 소그룹 모임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소그룹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소그룹 더의 준비입니다. 좋은 더가 좋은 소그룹을 만듭니다. 좋은 더는 구성원을 사랑하고 아끼면서도 잘못을 바로잡을 줄 압니다. 토론을 자연스럽게 이끌면서도 주제를 확실히 안내합니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하면서도 한 사람이 모든 것을 주도하게 두지는 않습니다. 좋은 더는 이처럼 여러 중요한 가치의 균형을 유지하는 사람입니다. 그것은 기술로 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성령께서 소그룹 더의 마음에 변화를 일으키셔야 합니다. 한 해의 사역을 앞두고, 소그룹 더가 먼저 성령께 ...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62호 - 더십과 속도, 그고 사도적 더십

조회수 4120

더십과 속도에 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 속도는 중요한 더십 역학으로 더가 새로운 더들을 선택하는 하나의 기준이 됩니다. 또 다른 사람들이 그 사람을 더로 인식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더십과 속도, 그고 사도적 더십을 가진 사람들은 더십 발휘시 어떤 속도를 지녔는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더의 역할을 맡았거나, 또는 더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천천히 또는 아주 조심스럽게 움직이게 되면, 그 속도를 좋아하는 사람들만 그를 이해하게 됩니다. 또한, 천천히 변하는 것을 좋아하는 더는 더 빨 움직이려고 하는 사람을 반역적이고, 순종적이지 않고, 훈련되지 못하고, 반대하는 자들로 인식하기도 합니다. 비극적인 사실은, 속력...

자세히 보기 →

[소그룹] 492호 - 습관적인 소그룹 결석자 해결하기

조회수 4019

소그룹에서 더를 가장 힘들게 하는 멤버는 다름 아닌 결석자입니다. 습관적으로 결석하고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있는 이들은 지도자의 열정과 의욕을 꺾어놓을 뿐 만 아니라 다른 멤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력을 줍니다. 이들을 어떻게 섬기느냐는 것은 모든 더들이 과거에도 현재에도 미래에도 고민해야할 문제입니다. 습관적으로 결석하는 이유는 개인적인 문제로 모임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관계의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 앞에 내 양이 아니라 하나님의 양임을 기억하며 함께 지혜를 모아 해결방안을 찾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기도 존 번연은 자신이 저술한 ‘성령 안에서의 기도’라는 책에서 기도를 매우 놀랍게 정의했습니다. 기도는 그스도를 통하여 성령...

자세히 보기 →

[개요] 13기 성경대학·교대학 집중세미나

Under 양육체계 조회수 5735

목회의 성패는 건강한 양육과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전국의 제자훈련 교회들이 좀 더 효과적인 양육 시스템을 갖추도록 돕기 위해 사랑의교회에서 2010년부터 지금까지 사용하며 그 효과가 검증된 성경대학(구약과정)과 교대학(전체과정)의 내용과 인도법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절대 진를 부정하는 적대적인 세상 속에서 영적 전투를 감당하는 성도들이 강력한 성령의 검으로 무장하게 될 것입니다. 집중 세미나에서 다루는 내용 사랑의교회 성경대학(구약과정) 또는 교대학(전체과정) 강의 전체를 빠짐없이 다룹니다.(성경대학-신약과정 강의는 가을에 진행됩니다.) ...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61호 - 더란 무엇인가

조회수 5378

더의 영향력은 절대적입니다. 훌륭한 더는 공동체 구성원들을 만족시키면서 바람직한 현재의 성과를 낼 뿐 아니라,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미래의 모멘텀을 계속 만들어냅니다. 반대로 변변치 않은 더는 성과는커녕 공동체와 구성원들의 미래를 망쳐버립니다.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면서, 새롭게 더로 세워져 헌신하는 사람들이 훌륭한 더가 될 수 있도록 전해야 하는 내용을 함께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더는 뇌처럼 일한다 더는 뇌처럼 일하는 존재입니다. 뇌는 우 몸의 신체 부위와 장기들이 각자에게 맡겨진 일을 묵묵히 수행하도록 지시를 내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뇌는 늘 지시나 명령을 통해 몸을 통제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뇌는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눈...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60호 - 유종의 미의 향기가 나게 하라!

조회수 6044

모든 더들은 동시대의 모델입니다. 그들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사람의 본을 보여줌으로써 다음 세대 더들의 멘토가 됩니다. 더는 본이 되는 모델링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고, 유종의 미를 거두는 삶을 통해 다음 세대 더들에게 영감을 주며, 엘야의 겉옷처럼 삶의 유산을 남겨야 합니다. 풀러 신학교에서 30년 넘게 더십을 연구한 로버트 클린턴 박사는 목회자, 선교사, 평신도 지도자들에게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삶과 사역에 있어 대표적 더십 시나오를 통하여, 그고 100여명의 성경 인물에 대한 더십 연구를 통하여 우가 어떻게 삶에서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는지 그 방법과 길을 가르쳐줍니다. 그는 유종의 미를 거둔 효과적인 더들을 비교 연구하면서 여섯...

자세히 보기 →

[개요] 3기 『생명의 공동체를 세우는 40일, 우가 교회입니다』 세미나

조회수 6249

“어떻게 공동체에 생명을 불어 넣을 수 있을까?” 교회가 매너즘에 빠지지 않고, 예수님의 몸 된 교회를 갱신해 나가는 작업은 모든 그스도인의 사명입니다. 이를 위해 항상 가장 가치 있는 삶을 사는 길이 무엇인지를 묻고, 그것을 삶으로 체질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생명의 공동체를 세우는 40일, 우가 교회입니다』 는 신앙 운동을 넘어 복음으로 삶을 체질화할 수 있도록, 교회에 역동성과 생명력을 불어 넣어 줄 가장 강력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 성도로서의 사명을 온전히 붙잡고, 공동체 전체가 다시 비상하도록 돕는 이 세미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세미나에서 다루는 내용 “공동체 고백...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