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777호 - 사역자의 세 가지 용량

조회수 2891

지도자는 공(功)을 이루기가 어렵습니다. 공을 들여도, 애를 쓰고 노력을 해도 성공하기가 어렵고, 성공한다 하더라도 그 성공을 지키는 일 또한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지도자는 항상 시작 못지않게 결말을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지도자는 겉으로는 둥글지만 안으로는 네모나게 사역해야 합니다. 스스로를 지키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밖으로는 환하게, 밝게, 부드럽게, 하지만 안으로는 나름대로의 틀과 나 자신의 사역을 철저히 점검하는 시스템을 갖고 나의 경건을 점검해 나가는 네모난 사역을 해야 합니다. 사실 지도자의 경건을 자신이 아니면 누가 점검해 주겠습니까? 더십 전문가인 존 맥스웰은 결과를 결정하는 것이 더십의 능력이라고 말합니다. 교회적인 용어로 말한다면, 사역의 결...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76호 - 잠잠히 하나님만 바라라

조회수 3938

온갖 소음이 판치는 세상에서 혼자만 잠잠하면 귀청이 터질지 모릅니다. 우 주위에는 늘 소음이 존재하고 그것도 점점 커져가는 상황에서 잠잠하기는 여간 쉬운 일이 아닙니다. 우 주변에 있는 갖가지 소음을 생각해보십시오. 사람들의 말하는 소, 출퇴근길의 차 소, TV나 라디오 소, 휴대폰에서 들는 동영상 소 등 우는 하루 종일 다양한 소음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소음을 피해 산책하는 중에도 우는 이어폰을 끼며 또 다른 소음을 귀에 집어넣으려 합니다. 소가 사라지고 정적이 흐르면 우는 내면의 삶을 들여다보게 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소음을 찾으려고 합니다.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이 외롭고 우울하고 힘겨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침묵은 직면하고 싶지 ...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75호 - 더의 비전, 사람들을 최상의 경지로 이끌라

조회수 3613

구성원 개개인의 마음에 감동을 일으키라 전문가는 자신이 맡은 소임만 제대로 하면 되지만, 더는 구성원들 모두가 각자의 분야에서 최선을 다하도록 이끄는 사람입니다. 구성원들의 마음속에 목표 달성을 위한 강력한 열망을 심어줄 수 있다면 이는 탁월한 더임에 틀림없습니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자신이 이용당하고 있는지, 혹은 상대방이 자신을 이용하는 사람인지를 알아채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더는 구성원들을 이용하는 사람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돕는 사람이어야 하며, 그들의 성과 창출을 독려하고 격려할 수 있어야 합니다. 더의 조건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한 가지를 ‘헬프’라는 한 단어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더가 이런 자세로 구성원들을 대한다면, 그들...

자세히 보기 →

[개요] 5기 『생명의 공동체를 세우는 40일, 우가 교회입니다』 세미나

조회수 5044

“어떻게 공동체에 생명을 불어 넣을 수 있을까?” 교회가 매너즘에 빠지지 않고, 예수님의 몸 된 교회를 갱신해 나가는 작업은 모든 그스도인의 사명입니다. 이를 위해 항상 가장 가치 있는 삶을 사는 길이 무엇인지를 묻고, 그것을 삶으로 체질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생명의 공동체를 세우는 40일, 우가 교회입니다』 는 신앙 운동을 넘어 복음으로 삶을 체질화할 수 있도록, 교회에 역동성과 생명력을 불어 넣어 줄 가장 강력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 성도로서의 사명을 온전히 붙잡고, 공동체 전체가 다시 비상하도록 돕는 이 세미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세미나에서 다루는 내용 “공동체 고백...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74호 - We더십으로 사역하라

조회수 3692

더 이상 한 명의 더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오늘날 다변하는 사회 환경에서는 예상치 못한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한 사람의 경험과 통찰력만으론 한계가 분명합니다. 특히 내부의 소통뿐 아니라 외부의 소통이 중요시된 환경에서 한 개인이 혼자 모든 관계를 대응하기엔 너무나도 벅찬 환경이 되고 말았습니다. 다양한 사람의 다양한 경험과 소통 방식이 모두 중요해졌습니다. 게다가 사역이 다양화되었기에 카스마 있는 한 사람이 모든 사역을 끌고가는 구조도 더 이상 통하지 않습니다.  대표 더는 존재할 수 있지만 대표 더가 모든 내용과 절차를 잘 알기는 어려워질 정도로 각 사역 분야의 전문성이 중요해진 시대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적절한 대안이 바로...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73호 - 목회자를 위한 엔지니어링

조회수 3905

<엔지니어링 기업혁명>의 저자인 마이클 해머는 ‘기업은 그들의 경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개혁해야 한다’고 말하며, 변화가 아니라 완전히 새로 시작할 것일 제안합니다. 엔지니어링이란, 한 마디로 지금까지 당연한 것처럼 여겨졌던 분업에 따른 조직화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완전히 새로운 사고를 가지고 다시 시작하자는 것입니다. 이것은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는 개혁자들의 주장과 일맥상통하는 이야기입니다. 기업이 엔지니어링을 통해 경영혁명이 필요하다면, 교회 역시 그런 과정을 통해 개혁되어야 할 것입니다. 근본적인 변화를 시도하라 엔지니어링이 필요하게 된 이유는 3C라고 부르는 고객(cumstomer), 경쟁(competition), 변화(change...

자세히 보기 →

[개요] 14기 성경대학·교대학 집중세미나

조회수 5222

목회의 성패는 건강한 양육과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전국의 제자훈련 교회들이 좀 더 효과적인 양육 시스템을 갖추도록 돕기 위해 사랑의교회에서 2010년부터 지금까지 사용하며 그 효과가 검증된 성경대학(신약과정)과 교대학(전체과정)의 내용과 인도법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절대 진를 부정하는 적대적인 세상 속에서 영적 전투를 감당하는 성도들이 강력한 성령의 검으로 무장하게 될 것입니다. 집중 세미나에서 다루는 내용 사랑의교회 성경대학(신약과정) 또는 교대학(전체과정) 강의 전체를 빠짐없이 다룹니다.(성경대학-구약과정 강의는 봄에 진행됩니다.)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03호 - 소그룹의 영향력을 극대화하기

조회수 4388

미국의 윌로우 크릭 교회(Willow Creek Community Church)의 개척멤버이자 신학자요 저술가인 길버트 빌레지키안(Gilbert Bilezikian)은 “그스도인들이 이 땅 가운데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은 공동체(community)를 아름답게 꾸미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는 그의 말처럼, 공동체를 세우고 꾸미는데 평생을 헌신했습니다. 미국의 복음주의 잡지인 크스채너티 투데이(Christianity Today)에서 “길버트 빌레지키안이 없었다면 윌로우 크릭 교회도, 소그룹도, 섬김에 대한 열정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평가할 정도로, 교회 공동체를 위한 그의 헌신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습니다. 길버트 빌레지키안의 말처럼 공동체를 ...

자세히 보기 →

[리더십] 772호 - 변화된 지도자가 되어보라

조회수 4150

현대 교회의 적합한 ‘변화된 지도자’는 전통에 대해 바른 시각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전통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단순히 전통만을 고집하다 중요한 본질을 잊어버릴 때가 많습니다. 변화된 지도자가 된다고 해서 전통을 무시해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다만 전통에 너무 집착하다 보면 전통적인 방법론에 얽매여 크게 실수를 범할 여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전통의 가장 큰 약점은 그것이 규격화되고 율법화되고 조직화되었다는 것입니다. 물론 메시지의 핵심은 변함이 없어야 하지만, 메시지를 전하는 방법은 시대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으며 또한 바뀌지 않으면 안 됩니다. 박물관에 있는 화석을 보십시오. 생명이 사라진 과거의 흔적일 뿐입니다. 많은 교회가 전통적으로 행해온 화석화된...

자세히 보기 →

[소그룹] 502호 - 소그룹 참여자들의 경험 인식

조회수 4611

소그룹 사역의 바이블로 불는 게스 아이스노글 박사의 <소그룹 사역을 위한 성경적 기초> 에 보면, 구약에서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실 때부터 인간을 한 사람으로 만들지 않고, 남자와 여자의 집단으로 창조했으며, 그것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복수형을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모세의 지도력은 소그룹 단위로 시작했으며 엘사의 소그룹 공동체 생활은 소그룹의 기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신약에서는 예수님의 제자는 소그룹을 가장 대표하는 모형으로 드러냅니다. 뿐 만 아니라 초대 교회의 형태는 오늘날과 같은 건물에 속한 교회가 아니라 소수로 구성된 가정교회로 구성된 소그룹 공동체였습니다. 우는 소그룹 사역은 성경이 제시하고 있는 기독교 공동체의 핵심적인 존재...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