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896호 - 리더에게 기쁨은 필수적이다

조회수 338

리더에게 기쁨은 필수적이다! 리더십은 종종 책임과 무게로 점철된 여정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진정한 리더십은 기쁨에서 출발합니다. 기쁨은 단순한 감정을 넘어, 리더에게 내적 에너지와 외적 영향력을 제공합니다. 하나님 안에서 발견한 기쁨은 리더십의 방향을 바로잡고, 공동체에 선한 변화를 이끌어냅니다. 그렇다면 리더가 기쁨을 가져야 하는 이유와 그 기쁨이 만들어내는 변화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기쁨이 만들어내는 내적 변화 기쁨이 리더에게 필수적인 이유는 과학적 연구에서도 확인됩니다.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연구에 따르면, 하나님을 기뻐하며 경외심을 느낄 때 뇌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납니다. 이를 통해 리더는 다음과 같은 능력과 태도를 키울 수 ...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95 - 용서로 다시 시작하는 리더십

조회수 413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여 많은 사람이 자기 삶에 새로운 다짐과 새로운 시작을 바랍니다. 공동체도 마찬가지로 새해에는 새로운 시작을 준비합니다. 그런데 여러 사람이 모인 교회 공동체가 새로운 시작을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한 개인이 새로운 시작을 위해 새로운 마음 가짐을 갖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결단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공동체는 여러 사람이 함께 상호 작용하는 곳이며, 이러한 공동체는 백이면 백 다음 과정을 위해 반드시 먼저 극복해야 할 관계적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리스도인이 공동체 안에서 관계적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며 동시에 궁극적인 노력은 바로 “용서”입니다. 용서할 수 있는 공동체만이, 용서를...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94호-교회 리더들, 무엇을 붙잡고 살아야 할까요?

조회수 170

처음 가는 길을 갈 때면 표지판이 그 무엇보다 절실히 필요합니다. 표지판이나, 내비게이션 등 길을 안내해 주는 무언가의 도움이 없이는 갈 곳을 잃고 헤매기 마련입니다. 너무 힘들어 더는 한 걸음도 못 내디딜 것 같다가도 저 멀리 표지판이 보이면 없던 힘을 쥐어짜서 조금이라도 더 진전할 수 있습니다. 크리스천 리더에게는 리더십 가운데 길을 안내해 주고 제시해 주는 표지판이 필요합니다. 여러 신학교에서 변증학 교수로 재직하며 담임목사로도 섬기고 있는 R. C. 스프롤은 라는 책에서 크리스천 리더들이 붙잡아야 할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권능을 붙잡아라예수님께서는 승천하시기 전 제자들에게 오직 성령이 임하시면 그들이 권능을 받고 땅끝까지 증인이 되리라고 말씀하셨습...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93호 - 목회자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편지

조회수 741

탈기독교 시대, 교회를 향한 5가지 질문 급변하는 탈기독교 시대, 교회는 어디로 가야 할까요? 현대 교회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진단하고 목회자들에게 사역의 이정표를 제시해 온 톰 레이너 박사가 새로운 책 <우리 교인 다 어디로?>를 통해 그 해답을 제시합니다. 40년 가까이 교회 컨설팅 사역을 해 온 그는, 이 책에서 현대 교회를 병들게 하고 건강한 성장을 저해하는 다섯 가지 문제들을 지적하며, 우리 교회의 현실을 되돌아보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길을 제시합니다. 실태파악 1 많은 교인이 실제로는 성경의 기본 진리를 믿지 않았다 톰 레어너 박사의 ‘당신의 교회를 알라’ 설문 조사에 따르면, 참여 교인 중 절반 가까이가 예수님이 유일한 구원의 길이...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92호 - 목회자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편지

조회수 573

기도의 문화를 정착시켜라 리더십의 가장 큰 숙제 중 하나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기도하는 공동체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영혼의 호흡인 기도를 통해 주님께서 일하심을 보게되고 주님께서 허락하신 소명을 보는 것은 모든 믿는 이들의 소망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도의 루틴을 세우며 기도의 문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도의 루틴을 세워라 내셔널커뮤니티교회의 담임목사이자 기도에 관한 베스트셀러 <서클 메이커>의 저자인 마크 배터슨 목사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기도 문화를 정착시키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세계에서 가장 바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워싱턴 DC에서 삶을 잠시 멈추고 기도하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배터슨 목...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90호 - 목회자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편지

조회수 649

야망이 아닌 열망을 품고 부르심의 자리로 나아가라 “당신이 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이미 절반은 성공한 것이다.”라는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 그 동기부여가 올바로 되어있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이 됩니다. 그러나 그전에 우리는 먼저 ‘동기’가 무엇인지 점검해야 합니다. 내가 부르심의 자리로 나아가는 동기가, 리더로 섬기는 동기가 불순하지는 않을까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부르심의 길을 따라 살다가 보면 거룩한 열정을 품은 멋진 사람들을 만나기도 하고, 반면에 어두운 야망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는 사역자들을 만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야망은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며 섬기는 가운데 희생을 초래하기도 됩니다. 겉으로는 사랑이나 헌신처...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88호 - 영혼의 호흡을 멈추지 않는 리더가 되어라

조회수 839

영혼의 호흡을 멈추지 않는 리더가 되어라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산소입니다. 산소가 없으면 뇌는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기 시작하고, 우리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 우리는 호흡해야 합니다. 토마스 왓슨은 “기도는 영혼의 호흡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사람이 호흡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듯이, 우리의 영혼은 기도하지 않으면 살 수 없습니다. 우리의 영혼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기도는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누군가 “당신은 충분한 기도 생활을 하십니까?”라고 묻는다면, 많은 교회 리더들은 충분히 하고 있지는 않다고 대답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기도하지 못하고 있을까요? 톰 페닝턴은 우리는 “너무 바빠서 기도...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87-서번트 리더의 습관

조회수 985

리더십에는 매일의 압력이 뒤따르기 때문에, 자칫 리더는 초점에서 벗어나 효율성을 잃고 살아갈 수 있습니다. 끝까지 초점을 잃지 않고 비전을 고수하기 위해서는 예수님의 모범을 배워 그분의 중요한 습관을 따라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켄 블랜차드 박사는 예수님의 다섯 가지 모범을 훈련하여 시대를 초월하는 효율적인 서번트 리더로 성장하라고 권면합니다. 습관1: 고독을 실천하는 습관 ? 하나님과 단둘이 시간을 보낸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모범을 보이신 고독이라는 영적 훈련은 영혼이 새로워지는 데 꼭 필요한 습관입니다. 그분이 아버지 안에 살아가시는 데 유용했던 습관이라면 당연히 우리에게도 유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예수님은 외면의 고독에 잠겨 내면의 고...

자세히 보기 →

[리더십] 886호 - 미리 결정하는 리더십

조회수 761

미리 결정하는 리더십 인생은 탄생(Birth)과 죽음(Death) 사이에 선택(Choice)이라고도 합니다. 우리는 모두 태어나면서부터 선택하며 살아가고, 중요한 갈림길에서 결정을 내리며 살아갑니다. 커피 메뉴 정하기와 같은 사소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때도 있지만 인생의 방향성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순간도 찾아오기 마련입니다. 심지어 한 공동체의 리더에게는 자신만이 아닌 속한 공동체 모두의 방향성을 정하는 중요한 결정을 해야 하기도 합니다. 결국 뛰어난 리더는 결정을 잘하는 리더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내리는 결정의 질은 우리의 삶의 질을 결정합니다. 오클라호마주 라이프교회(Life Church)를 담임하며 우리에게는 성경 앱 유...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15호 - 소그룹 사역, 왜 필요한가?

조회수 1129

소그룹 사역, 왜 필요한가? 교회는 큰 무리지만, 소그룹 성경공부는 개인 간의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고, 성경 지식을 함께 탐구하며, 서로 격려와 책임감을 다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정기적으로 함께 모여 성경공부와 교제를 가짐으로써 더 깊은 관계를 형성하고, 서로 지탱과 격려를 주고받으며, 교회 안에서 더 긴밀한 공동체와 책임감을 형성하며, 교회를 성장시킬 리더를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소그룹 사역을 감당해야 하는 세 가지 이유 1. 깊은 교제와 공동체 형성 * 소그룹은 같은 관심사, 도전, 삶의 단계를 공유하는 사람들을 연결하여 교회 안에서 소속감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공유된 유대감은 교회를 강화하는 힘이 됩니다. *...

자세히 보기 →